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중 갈등 속 외교전략 (외교정책,미국)

by dacobubu2 2025. 8. 31.

미·중 갈등 속 외교전략 관련 사진

2025년 현재 미·중 갈등은 경제, 군사, 기술, 외교 전 영역에서 심화되고 있으며, 미국 외교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양국은 무역과 기술 패권 경쟁뿐 아니라, 인도·태평양 지역의 영향력 확대를 두고 장기적 전략 대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미·중 갈등 속에서 전개되는 미국의 외교전략을 최신 사례와 함께 심층 분석합니다.

경제·기술 분야의 전략

미국은 반도체, 인공지능, 양자컴퓨팅, 5G, 바이오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중국의 부상을 억제하기 위해 수출통제와 투자 제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3~2025년 사이 미국은 반도체 제조장비와 AI 훈련용 고성능 GPU에 대한 대중국 수출 규제를 확대했으며, 중국 기업의 미국 내 기술기업 투자도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를 통해 차단하고 있습니다.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와 CHIPS and Science Act는 동맹국과의 기술 협력을 강화하고, 중국을 배제한 글로벌 공급망 형성을 지원합니다. 이는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과 리쇼어링(Reshoring) 전략의 핵심으로, 미국은 반도체·배터리·핵심광물 분야에서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있습니다.
미국은 WTO 규범, 무역협정, 양자 협상 등을 활용해 중국의 보조금 정책과 국유기업 중심 산업정책에 대응하고 있으며, EU·일본과 공동 제소 및 규범 제정 협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인도·태평양 지역 외교전략

미국은 인도·태평양 전략을 통해 중국의 해양·경제적 영향력을 견제하고 있습니다. 한미일 3국 안보협력, 쿼드(Quad: 미국·일본·호주·인도), AUKUS(미·영·호) 협의체는 군사·안보 연계를 강화하며, 남중국해·대만 해협에서의 항행의 자유 작전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국가와의 군사·경제 협력도 확대되고 있으며, 인프라 투자와 디지털 네트워크 구축 지원을 통해 중국의 ‘일대일로(BRI)’ 전략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양안보 훈련, 합동 순찰, 군사 장비 이전 등 실질적 안보 협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대만에 대한 군사·외교적 지원을 유지하며, 중국의 무력 통일 시도 억제를 위해 무기 판매, 훈련, 군사 정보 공유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거버넌스와 규범 경쟁

미국은 미·중 갈등을 글로벌 거버넌스 경쟁의 장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디지털 무역, 인권, 보건 등 국제 의제에서 민주주의 국가 연대를 강화하고, 중국 중심의 권위주의 모델에 대항하는 규범을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에서 미국은 파리협정 목표 달성을 위해 청정에너지 기술 수출과 재생에너지 공동 프로젝트를 확대하며, 중국의 석탄 중심 에너지 정책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분야에서는 ‘개방형 인터넷’ 모델을 확산시키고, 데이터 보안·AI 윤리 규범을 국제표준화기구(ISO), OECD 등을 통해 주도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또한 중국의 인권 문제를 유엔 인권이사회, 국제노동기구(ILO)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제기하며 국제적 압박을 가하고 있습니다.

군사적 억제와 안보정책

군사 분야에서 미국은 ‘통합 억제(Integrated Deterrence)’ 전략을 바탕으로, 핵·재래식·사이버 전력을 결합한 다층 방어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괌·하와이·일본·한국·호주에 주둔한 미군 전력을 현대화하고, 신속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사일 방어 시스템, 극초음속 무기, 무인기, 우주기반 감시체계 등을 발전시켜 중국의 A2/AD(접근거부·지역거부) 전략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군사동맹국과의 합동훈련 빈도와 규모도 확대되었으며, 2025년에는 한미일 연합훈련이 해양·공중·사이버 영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2025년 시사점과 전망

미·중 갈등 속 미국 외교전략은 ▲경제·기술 패권 경쟁 심화 ▲인도·태평양 동맹 강화 ▲글로벌 규범 주도 ▲군사 억제력 강화라는 네 가지 축으로 요약됩니다.
이 전략은 단기적으로 중국의 경제·군사 확장을 억제하고, 장기적으로는 민주주의 진영의 기술·경제·안보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한국을 비롯한 동맹국은 미·중 갈등 장기화에 대비해 공급망 안정, 군사협력 확대, 기술동맹 강화, 규범 경쟁 참여 등 다층적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 특히 전략산업과 안보 이해관계가 겹치는 영역에서 미국과의 협력을 공고히 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